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ebook

By 김성재

cover image of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소리는 그림이나 문자보다 인간의 뇌를 훨씬 더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자극한다. 청자는 소리 연행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이해함으로써 태도 변화나 감정이입 신명을 경험한다. 이 책은 우리 민중이 소리를 창조하고 청취하면서 어떤 의미를 공유했는지 재해석한다. 쇠북소리 징소리 풍물 민요 판소리 산조 유행가 등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소리가 담고 있는 메시지를 분석·종합한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데카르트(Descartes)의 명제를 원용한 독일의 소리 연구가 세게베르크(Segeberg)의 이 명제는 소리의 힘이 그림이나 문자의 힘보다 월등히 크다는 사실을 대변한다. 인간이 일생 동안 커뮤니케이션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메시지는 소리매체에 의해 운반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인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잡음을 포함한 소리는 인간의 감정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을 그림이나 문자보다 훨씬 더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자극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소리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인간의 의식 활동과 태도 변화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내 최초의 소리 메시지 연구 그런데도 지금까지 우리의 소리 연구는 민속학이나 음악학 등의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커뮤니케이터(소리 창조자 및 송신자)의 의도와 업적에 큰 비중을 두고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각 음악 장르의 작사·작곡가와 악곡(樂曲) 악기의 연행(주)자 성악가 등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그러나 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터의 의미 선택에서 시작해 전달 그리고 수용자(소리를 듣는 자)의 이해라는 세 가지 기본 요소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서로 간의 의미 공유를 수행하는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 곧 소리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소리의 청자(聽者)는 소리 연행자가 전달하는 메시지(소리에 실린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태도의 변화 감정이입 또는 신명을 느끼게 된다. 커뮤니케이션학자인 저자는 이러한 소리 수용자에 대한 관심에서 소리 메시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국 소리 커뮤니케이션학의 초석을 이룰 첫 번째 책 이 책의 목적은 우리의 궁중음악 또는 정악과 같은 엘리트 음악이 담아내는 메시지가 아니라 우리 민중 속에 깊숙이 자리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소리가 담고 있는 메시지를 분석·종합하여 정리하는 데 있다. 우리 민중이 창조하고 느낀 소리는 그들의 희로애락을 가장 솔직하고 진지하게 담지해 온 인식과 실천의 태도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인간의 의도가 반영되어 인간들 간의 의미 공유를 목표로 수행되는 비언어적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소리 메시지를 연구하여 우리 민중이 소리를 창조하고 청취하면서 어떤 의미를 공유했는지 재구성해 해석한다.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