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방주005 세계유산 Ⅴ. 한국의 세계유산(Korea World Heritage) (Knowledge's Ark005 World Heritage Ⅴ. Korea World Heritage)

ebook

By 명화조

cover image of 지식의 방주005 세계유산 Ⅴ. 한국의 세계유산(Korea World Heritage) (Knowledge's Ark005 World Heritage Ⅴ. Korea World Heritag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대한민국이 아시아 최다 세계기록유산 보유국이자 세게 3위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보유국이다?! 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 세계유산(World Heritage) 시리즈 제5탄 'Ⅴ. 한국의 세계유산(Korea World Heritage)'은 한국인에게도 알쏭달쏭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관한 20가지 키워드를 속 시원하게 해결해 드립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가 선보이는 지식총서(知識叢書) 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지식여행을! B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 한국은 12건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 19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13건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외에도 1건의 세계지질공원(Global Geoparks Network), 5건의 생물권보전지역(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지질공원(Global Geoparks Network)의 전 단계인 국가지질공원(National Geoparks)은 총 7곳이다.

 

북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 북한도 유네스코 가입국 답게 2건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과 2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그리고 4건의 생물권보전지역(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 이름을 올렸다. 아쉽지만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과 세계지질공원(Global Geoparks Network)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

 

아시아 최다 세계기록유산 보유국?!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은 총 13점으로 '아시아 최다' 보유국이다. 참고로 세계에서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독일로 무려 21점(공동등재 6점 포함)이며, 영국 15(7), 폴란드 14(2) 등 유럽이 1~3위를 차지하고 있다. 13점을 보유한 한국(0)과 오스트리아(2), 러시아(2)는 공동 4위로, 아시아 대륙에서는 한국이 단연 선두다. 참고로 중국 10점(0), 일본 5점(1)이다.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의서는? : 한국의 의학, 한의학을 자랑할 만한 의학서로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빼놓을 수 없다. 드라마로 잘 알려진 명의 허준이 25책으로 정리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은 기존의 다양한 자료와 임상의학을 총 망라한 '한국인을 위한 공중보건의서'다. 중국의 수많은 의학서적을 제치고, 동의보감(東醫寶鑑)이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된 이유는 바로 '정부'가 발간을 지시해 만들어진 '일반 대중'을 위한 아시아 최초의 의학서적이라는 점이 높이 평가 받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아플 때의 처방 못지 않게 병에 걸리지 않기 위한 양생(養生)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 때문에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일본은 물론 중국에서 적지 않은 판본이 존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위안부 기록물도 세계기록유산이 될 수 있을까? : 한국을 비롯한 9개국 14개 단체가 공조해 위안부와 관련된 2,774건의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공동 등재코자 지난 2016년 5월 제출했다. 일본측의 반발이 거세지만, 등재시 '가장 많은 국가가 참가한 부(負)의 세계유산(Negative heritage)'이 되지 않을까?

 

동북아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누구의 것인가? : 동북아의 경쟁적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이면에는 정치역사적인 함수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자국의 유산을 선등재함으로써 원조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이를 통해 자국의 정치역사적인 해석을 확산시키는 소재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기등재된 강릉단오제(중국 단오제), 제주해녀문화(일본 아마), 조선족 농악무(한국의 농악무)가 논란이 된 바 있으며, 앞으로도 이같은 원조 논쟁, 역사 분쟁은 사그라 들기는커녕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한중일 3개국은 공동 등재보다는 온돌(중국의 훠캉), 가야금 산조(중국의 가야금) 등을 놓고 치열한 등록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하기사, 북한과도 공동등재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마당에 한중일간의 협력을 기대한다는 것이 지나치게 이상적인 지도 모르겠다.

 

-목차/Index-

판권(Publication Right)

표제지(Main Title Page)

목차(Index)

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에 오르며

A. 대한민국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

A1.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표)

A2. 북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표)

A3. 세계유산이 인정한 한국의 천재 건축가는?

A4. 내일의 대한민국 세계유산은? 잠정목록(Tentative Lists)

A5. 한국의 세계유산 공동등재

A5-1. 대한민국 + 북한

A5-2. 한국 + 일본

A5-3. 한국 + 중국

A5-4. 아시아

A5-5. 세계/대륙

A5-6. 부(負)의 세계유산(Negative Heritage)

A6. 한반도부터 중국까지, 고구려와 조선의 연속유산(Serial Heritage)

A7. 한국을 할퀴는 일본의 세계유산

B.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B1. 아시아 최다 세계기록유산 보유국?!

B2. '세계 최장 기간' 집필된 단일 왕조의 역사서는?

B3. '세계 최대'의 연대 기록물은?

B4.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물은?

B5. 문자 창제의 원리를 수록한 '세계 유일'의 책은?

B6.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의서는?

B7.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이 외국에 있다니?!

B8. 위안부 기록물도 세계기록유산이 될 수 있을까?

B9. 세종대왕님이 주는 유네스코 국제상이 있다?!

C. 대한민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1.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이 세계 3위라구?

C2. 김장, 아리랑이 2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이다?!

C3. 조선족 농악무(農樂舞)가 중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구?!

C4. 한국과 17개국이 함께 공동등재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은?

C5. 한국이 만든 인류무형문화유산 국제상이 있었다?!

C6. 동북아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누구의 것인가?

지식의 방주 세계유산(World Heritage) 시리즈(5)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도서목록(244)

 

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

www.themetn.com

www.fb.com/themetn

www.twitter.com/themetn

Bookstore APP https://goo.gl/3qeeZu 

지식의 방주005 세계유산 Ⅴ. 한국의 세계유산(Korea World Heritage) (Knowledge's Ark005 World Heritage Ⅴ. Korea World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