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171 아서 코난 도일의 콩고의 범죄(English Classics171 The Crime of the Congo by Arthur Conan Doyle)

ebook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By 아서 코난 도일

cover image of 영어고전171 아서 코난 도일의 콩고의 범죄(English Classics171 The Crime of the Congo by Arthur Conan Doyl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코난 도일은 영국이 파견한 종군 특파원?! 전쟁 전문 논픽션(Non-fiction) 작가!! feat. 영국 정부 : 코난 도일은 추리 소설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친 작가이기 이전에 SF, 역사 소설은 물론 수많은 단편을 집필한 다작 작가(prolific writer)입니다. 또한 '영국 왕실의 작위를 받은 기사'로써, 영국군이 참전한 당대의 전쟁과 전투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에 대한 논픽션(Non-fiction)도 적지 않게 집필하였습니다. 코난 도일의 논픽션(Non-fiction)은 대부분 국내에 번역본이 출간되지 않아 잘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당대의 영국 국민에게는 코난 도일이 '셜록 홈즈의 작가' 이상의 평가를 받게 한 중요한 작품으로 꼽힙니다. 물론 영국 정부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옹호한다는 한계는 있겠습니다만, 수많은 사료를 바탕으로 당대의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한 기록물(documentary)로써의 가치만큼은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영국군이 참가한 전쟁에 특히 관심이 많은 전쟁사 작가로써 위대한 보어전쟁(The Great Boer War by Arthur Conan Doyle)(1900)의 경우 무려 16차례에 걸쳐 개정할 정도로 열과 성을 다하였을 뿐 아니라 하였으며, 이탈리아 정부의 초청과 영국 정부의 제안으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3대 전선 방문 : 1916년 6월(A Visit to Three Fronts: June 1916 by Arthur Conan Doyle)(1916)을 집필하였습니다. 영국군을 시작으로 이탈리아군과 프랑스군을 직접 방문했다는 점에서 코난 도일이 종군기자, 종군특파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입니다. 특히 그가 2차에 걸친 보어전쟁(1880~1881, 1899~1902)과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그리고 영국 캠페인(The British Campaign)(1914~1918) 당시 왕성하게 활동한 '생존 작가이자 20세기 작가'로써 수많은 데이터와 인터뷰 등을 취합해 생생하게 현장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작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1차 사료의 저작자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셜록 홈즈의 작가 코난 도일이 전쟁 전문 논픽션(Non-fiction) 작가라니, 그의 낯선 모습에 놀라는 독자 분들도 적지 않으실 것 같네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코난 도일은 인권 운동가이자 사회 고발자?! : 코난 도일은 소설가이기 이전에 영국 왕실의 작위를 받은 영국인으로써 대영제국이 세계 각지에서 벌인 잔혹한 식민지배에 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묘사하였으나, 그의 논픽션(Non-fiction) 작품 중에는 타국의 식민지배와 약탈, 인권 침해(human rights abuses), 원주민 학살 등에는 강한 어조로 비판한 것도 있습니다. 벨기에 왕 레오폴드 2세(Leopold II)의 콩고 독립국(Congo Free State)에 대한 노예 제도(slavery), 고무 착취(rubber regime), 상아 밀렵(ivory poaching) 등을 강렬하게 비판한 콩고의 범죄(The Crime of the Congo by Arthur Conan Doyle)(1909)는 서유럽에서 화제를 불러 일으켰고, 벨기에 정부 차원에서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종식시키는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습니다. 단순한 책상물림이 아니라, '행동하는 지성인'으로써의 면모를 보여준 중요한 작품이지요! 벨기에 레오폴드 2세(Leopold II)는 독일 히틀러보다 한수 위?! : 19세기 아프리카는 프랑스의 횡단정책과 영국의 종단정책을 비롯해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란 열병에 극심하게 시달렸습니다. 유럽의 소국인 벨기에 또한 프랑스와 영국 등이 먹고 남은 부스러기(?!)라도 주워 먹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자, 레오폴드 2세(Leopold II)(1835~1909)는 영국 출신의 미국인 탐험가(영국에서 태어난 고아로 이후 미국인에게 입양된) 헨리 모턴 스탠리(Henry Morton Stanley)(1841~1904)가 콩고 민주 공화국(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일대를 탐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타국의 영토를 무단으로 점령해 사유지로 삼는다는 것은 지금으로썬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겠으나, 1884년 베를린 회의(Berlin Conference)를 통해 현지인의 의사와는 전혀~ 무관하게 콩고 독립국(Congo Free State)이 공인되었습니다. 이후 레오폴드 2세는 현지의 주민을 무력으로 동원해 고무를 비롯해 상아 등의 천연자원을 대량으로 반출하였는데, 그 과정이 '타국의 식민지 지배와 비교해 보더라도' 극심하게 잔혹하였습니다. 서구 열강이 식민지에서 공통적으로 노예 제도를 통해 천연 자원을 대량으로 수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레오폴드 2세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셌다는 것은 '인류 역사상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잔혹한 수법'을 동원했기 때문입니다. 그의 농장에서는 할당량을 채우지 못한 현지인의 왼손을 잘라버렸고, 그래도 할당량이 부족하면 오른 손마저 잘라버렸습니다. 그러면? 노동력을 상실한 그는 생존이 불가능해질 것입니다. 이 같은 잔혹한 신체 절단, 고문, 살인 행위를 성인 뿐 아니라 어린 소년, 소녀까지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레오폴드 2세는 600만의 유태인을 학살한 독일 히틀러에 결코 못지않은 인물로 당시 콩고 자유국은 최소 800만 명 이상의 주민이 감소하였습니다. 정확한 사상자 통계조차 확인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만.... 이같은 만행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벨기에는 '초콜릿의 국가'로 알려져 있을 뿐 레오폴드 2세(Leopold II)의 만행은 잊혀져 가고 있는 것은 피해국이 아프리카의 이름 모를 국가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작가 코난 도일 또한 서문(Preface)에서 이 같은 점을 지적한 바 있지요. There are many of us in England who consider the crime which has been wrought in the Congo lands by King Leopold of Belgium and his followers to be the greatest which has ever been known in human annals. Personally I am strongly of that opinion. There have been great expropriations like that of the Normans in England or of the English in Ireland. There have been massacres of populations like that of the South Americans by the Spaniards or of subject nations by the Turks. But never before has there been such a mixture of wholesale expropriation and wholesale massacre all done under an odious guise of philanthropy and with the lowest commercial motives as a reason. It is this sordid cause and the unctious hypocrisy which makes this crime unparalleled in its horror.벨기에군이 콩고인을 길들이는 법, 치콧(The Chicotte) : 일제 강점기 일본군이 아시아 각지의 독립 운동가를...

영어고전171 아서 코난 도일의 콩고의 범죄(English Classics171 The Crime of the Congo by Arthur Conan Doyle)